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7

오래전에 그린 연습장 그림들... 2006. 2. 17.
신세기 에반게리온 ( Neon Genesis Evangelion, 1995, 일본 ) 제작사 : 가이낙스 GAINAX배급사 : 토에이 TOEI총감독 : 안노 히데야키 1960년생. '초시공요새 마크로스'(TV series,82-83) 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movie,84)의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84년 조직된 가이낙스의핵심 멤버로서 활동하여 87년 '오네아미스의 날개-왕립우주군'의 작화감독을, 그리고 감독으로서 'Top을 노려라! (건버스터)' (ova,전3권,88), '미지의 바다의 나디아'(TV series, 전39화, 89-90)를 제작하였다. 그후 4년여의 공백기를 거쳐 95년 첫 방영된 이래 지금까지도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에반게리온' 시리즈를 제작하였다. 캐릭터 디자인 : 사다모토 요시유키 미지의 바다의 나디아'에서도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에반게리온 프로젝트.. 2005. 12. 14.
포스트 모더니즘.. 현재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가 요즘 문화에 관한 용어중 가장 흔하게 듣고 있는것이 '포스트 모더니즘'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용어는 비단 문화의 한 현상을 지칭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제는 일상생활에서도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대부분의 문예사조와 마찬가지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정확한 발생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용어의 개념을 정의 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처럼 이것의 기원과 발생 연도에 대해 정확함을 기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문학에서는 스페인의 비평가 페데리코 데 오니스가 이 말을 처음 썼으며, 피들러도 그의 시 선집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유명한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도 이런 용어를 썼으나, 각자가 자신의 고유한 정의에 따라 사용한 것이므로 그 뜻에는 많은 차.. 2005. 12. 1.
모더니즘 이후의 미학 현실의 엄정한 원칙을 벗어나 인간이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고 전망하기를 가능케 하는 미적 차원은 산업사회에서 개탄스러울이만큼 문드러져 소생될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차대전 이후의 전후 모더니즘(Late Modernism) 유파에 있어서도 미적 차원은 철저히 배척되었고, 미적 감성의 마비 증세는 이제 보편적 현상이 되었다. 현대 공학과 경제 구족에 의해 미적 차원이 압살되고 거부되는 이 사태를 풀러는 이름붙여 미적 위기라 한다. 이 위기에 직면하여 해결 방안을 찾는다면 그것은 당연히 미적 차원을 인간 능력으로서 소생시키고 사회적 실천으로서 실천해내는 일이다. 모더니즘 이전의 옛 작품에 대해 새로이 이는 관심과 평가, 장식을 비롯 솜씨 공방적 요소에 재대한 재인식, 자연미으 재평가 등은 단순환 감각 회.. 2005. 12. 1.